日本語
다음카페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CLOSE
×
몽당연필
대표인사
걸어온길
사업소개
정관
살림살이
오시는길
소식
공지사항
활동보고
동포소식
몽당연필 소식
미유의 동포 이야기
미디어
칼럼
관련 행사
일정표
우리동네 우리학교
우리학교 어디있지?
홋카이도 학구
이바라기 학구
도쿄 학구
가나가와 학구
아이치 학구
교토 학구
오사카 학구
고베 학구
히로시마 학구
규슈 학구
자료실
우리학교 시리즈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자료실
영상
영화
책 소개
열린마당
카페로 가기
문의하기
법률상담
알아봅시다
조선학교는 어떤 곳?
고교무상화란?
보조금 문제
조선적 동포 문제
각 지역 재판 현황
후원하기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연구
목록
Total
6
텍스트
⑦[상법] 충동적이고 비정상인 제재가 왜 정당화 되는가
충동적이고 비정상인 제재가 왜 정당화 되는가 -계속되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인권침해법조계를 목표로 하는 조선대학교 학생들을 보며2019년은 조선대학교 정치경제학부에 법률학과가 창설된 지 20년이 된 해입니다. 그동안 2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법률학과를 졸업하고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이 법률학과 창설 20주년을 기념해 한 권의 책을 출…
364
0
03-19
텍스트
⑥[사회학・에스니시티(ethnicity)] 일상의 복잡성을 복잡한 그대로 기술한다
일상의 복잡성을 복잡한 그대로 기술한다 –민족, 조국, 아이덴티티‘더블*‘과의 만남내가 연구를 시작한 가장 큰 계기는 유학동(재일본조선유학생동맹)과의 만남이다. 조선초급학교를 졸업한 이후 중·고등학교는 일본 학교를 다니면서 직접적인 차별을 경험한 적은 거의 없었지만 돌이켜보면 친구들 사이에서 나의 뿌리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도록 신경을 쓰는 일상을 …
491
0
03-19
텍스트
④[행동경제학·통계학] 경제학과 통계를 통해 본질에 접근하고 싶다 - 어금니를 드…
a경제학과통계를 통해 본질에 접근하고 싶다- 어금니를 드러낸 “경제”를 바라보며동포사회 경제적 지위의 실태지금까지 경제학에서는 <사람들은 합리적이다>라는 현실적으로 다소 무리한 전제하에 연구가 진행되어 왔습니다. 저의 전문인 「행동경제학」은 인지심리학과 뇌 과학, 사회학 등 이(異)분야의 첨단연구와 학문적 교류를 통해 <비합리>적으로…
511
0
12-13
텍스트
③ [재일조선인사] 그 아픔을 누가 달랠 수 있을까 – 관동대학살의 정신적 흔적
그 아픔을 누가 달랠 수 있을까 – 관동대학살의 정신적 흔적박해와 왜곡 속에서나는 2002년에 대학에 입학했다. 당시 일본에는 납치문제를 계기로 과거의 전쟁을 둘러싼 ‘피해자의식’에 기초한 국민주의가 확산되고 조선민족, 특히 북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거나, 보여졌던 재일조선인과 그 역사가 박해/왜곡되는 일이 눈앞에 일어나고 있었다. 조선학교와 학생을…
488
0
10-11
텍스트
② [조선근대사·일조관계사] 조선·일본의 ‘경계’— 쓰시마를 살다간 조선인
조선·일본의 ‘경계’— 쓰시마를 살다간 조선인아직 알려지지 않은 재일조선인사를 향한 시선재일조선인의 뿌리는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에 있다. 식민지 시기에 조선인은 중추 산업이 많은 도쿄·오사카·히로시마·야마구치·후쿠오카 등 도시에서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재일조선인의 역사라고 하면 우리는 도시의 조선인 노동자를 떠올린다. 하지만, 일…
572
0
10-11
텍스트
① [조선학교 교육사] 조선학교의 교육을 설명하는 "말" 을
투쟁과 창조의 역사조선학교의 교육을 설명하는 “말’ 을…대학원 시대, 떠오르는 의문조선학교의 교육은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가.조선대학교 이공학부를 졸업하고 이과교원으로서 전문성을 닦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한 나는 학우서방에서 조선학교의 이과 부교재 작성을 도우면서 이런 의문을 품게 되었다. 당시 가장 나이가 어렸던 나는 일본 출판사가 만든 교재를 조선어로 번…
631
0
10-10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Subject
Content
Subject+Content
법률상담
문의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