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CLOSE
×
몽당연필
대표인사
걸어온길
사업소개
정관
살림살이
새글
오시는길
소식
공지사항
새글
활동보고
새글
동포소식
새글
몽당연필 소식
새글
미유의 동포 이야기
미디어
칼럼
관련 행사
새글
일정표
새글
우리동네 우리학교
우리학교 어디있지?
홋카이도 학구
이바라기 학구
도쿄 학구
가나가와 학구
아이치 학구
교토 학구
오사카 학구
고베 학구
히로시마 학구
규슈 학구
자료실
우리학교 시리즈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자료실
새글
영상
영화
책 소개
열린마당
카페로 가기
문의하기
법률상담
알아봅시다
조선학교는 어떤 곳?
고교무상화란?
보조금 문제
조선적 동포 문제
각 지역 재판 현황
후원하기
우리학교 시리즈
우리학교 시리즈
우리학교 시리즈
목록
Total
71
텍스트
추억의 맛(편) Vol.55 주조 역 「오우카(王華)」
추억의 맛(편)vol.55도쿄 조고생이 사랑한 중화요리점「오우카(王華)」- 도쿄 중고교 '선생님을 비롯해 졸업생, 학생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라고 말하는 이타바시 세츠코 씨 -야키니쿠 정식, 만가라(완전 맵게)~지난 4월, 도쿄 조선중고급학교 학생과 보호자들에게 친숙한 JR 주조역(十条驛) 서쪽 출구에 있는 대중 중화식당 「오우카」가 폐점했다. 폐점을 며칠 …
654
0
11-1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54 1986년 간행된 <조선어 소사전>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54 1986년 간행된 조선어 소사전 (글 장혜순)우리들의 돛단배를 짓다재일조선인의 중등교육이 40주년을 맞이한 1986년 5월, 조선학교 아이들이 조선어를 배우기 위한 사전 <조선어 소사전>이 간행되었다. 1세 언어학자, 조선학교 교단에 섰던 교사…. 조선어교육 발전을 위해 사전 만들기에 힘을 쏟은 사람들의 발걸음을 따…
992
0
08-25
텍스트
도쿄조선중고급학교의 간판 이야기_ <우리학교 풍경>
도쿄조선중고급학교의 교문 간판 이야기잡지 <우리학교 풍경> 2018년 11월 25일 기사 번역 本文を見に行く(본문 보러 가기) -->https://www.urihakkyo.com/2018/11/25/kanban-nurikae/글. 김일우&신길웅 (도쿄조선고급학교 18기생)10월 19일에 직장에 가기 전에 도쿄중고로 향했다. 누군가 교…
1595
0
08-14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53 <일본어>교과서의 역사(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53 <일본어>교과서의 역사(후편) (글 이상영) 일본어 교육의 기초를 닦은 사람들4월호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1980년대 이후 일본어교과서 편찬의 역사를 편찬사업에 종사했던 사람들의 증언과 함께 되짚어 본다. - 가장 최근에 제7차 개편(2013~17)을 통해 새롭게 만든 <일본어문법>(중급부)…
834
0
06-14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52 <일본어>교과서의 역사(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52 <일본어>교과서의 역사(전편) (글 이상영) 전환점이 된 77년도 개편재일조선인에게 <외국어>이자 일상생활에서는 제1언어인 일본어는 조선학교에서 어떻게 가르쳐 왔을까. 일본어 교과서 편찬의 역사를 2회에 걸쳐 알아본다. 전편에서는 1955년 총련 결성 후부터 일본어 교과서 편찬사에서 커다란 전환점이 …
1209
0
06-14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51 규슈 중고급학교 가야금병창부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51 규슈 중고급학교 가야금병창부 (글 황리애) 시모노세키에서 규슈로 이어진 전통규슈 조선중고급학교의 가야금병창부는 1960년대 말부터 재일본 조선인 중앙예술축전(현, 재일조선학생 중앙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70년대에는 학생부문 가운데 고급부 1등상 수상. 이후 가야금병창의 강호로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그 …
698
0
06-14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50 조선유치원(하)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50 조선유치원(하) _1970년대의 교원들'훌륭한 조선인'이 되길 바라는 염원을 받아들여1950년대부터 각지의 조선학교에 부속된 형태로 생겨났던 조선유치반. 78년에 도쿄의 조선대학교에 유치반 교원을 양성하는 <교양원과(현재의 교육학부 보육과)>가 생길 때까지는 초급부 교원 경험자나 일본대학에서 보육을 전공한 여성들이…
729
0
01-10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9 조선유치원(상)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9 조선유치원(상) (글 장혜순, 전기일) “유아에게도 민족교육을” 60년대부터 잇달아 시작 1948년~49년, 일본정부와 GHQ에 의한 조선학교 탄압이 작열했는데 ‘우리 아이에게 민족교육을’ 시키자는 염원까지는 없앨 수 없었다. 1950년대에 태어난 조선유치원은 일하는 어머니들의 요구와 계속 늘어가는 학생 수, 조국으로 …
1059
0
12-27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8 도쿄 제1초급학교 교사건설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8 도쿄 제1초급학교 건설(글 전기일) 민족교육 사상 최초로 철근 콘크리트 교사건립에 내걸었던 1세의 심정60년 전인 1959년 1월 15일, 도쿄 조선 제1초중급학교(당시는 초급학교)는 일본 각지의 조선학교들보다 먼저 민족교육 사상 처음으로 철근콘크리트 교사를 세웠다. 철근콘크리트 교사는 어떻게 세워졌나. - 철근…
896
0
12-26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7 조선대학교 법률학과 창설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7 조선대학교 법률학과 창설 (글 이상영) 동포의 권리를 지키는 법률 전문가 육성조선대학교 정치경제학부에 법률학과가 신설된 후 올해로 20년.이곳에서 배출된 변호사 자격을 가진 졸업생들이 많다. 민족교육에서는 최초로 법률전문가가 육성된 이곳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해 왔을까. - 배명옥 변호사(1기) -- 김민관 …
1089
0
12-26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6 <가네히라(金平)단지>와 조선학교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6 <가네히라(金平)단지>와 조선학교 (글 황리애) 생활의 ‘중심’에 있었던 우리학교1960년대, 후쿠오카에는 행정기관에 의한 구획정리로 생활하던 곳에서 내몰려야 했던 재일조선인들이 있었다. 대체 거주지로 많은 판자공동주택이 만들어진 <가네히라 단지>(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현재 정식명칭은 하마마츠 주…
797
0
12-25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5 <4·24교육투쟁>(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5 4·24교육투쟁(후편) (글 장혜순) 불굴의 정신을 낳은 <4·24투쟁>_100만 명이 참가해 학교 사수조선학교 폐쇄를 명령한 <1·24통지>는 조선말로 하는 자주적 교육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일본정부의 명백한 탄압이자 해방 후에도 이어지는 식민지주의의 연속을 의미했다. 통지에 반대하는 4·24교육투…
1396
0
12-1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4 <4.24 교육투쟁>(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44 <4·24교육투쟁>(전편) (글장혜순) 김태일 소년은 왜 죽음을 당했나.1945년 해방 후 재일조선인은 엄청난 기세로 일본각지에 조선말을 가르치는 국어강습소를 만들어 아이들에게 민족교육을 실시했다. 그러나 미 점령군과 일본정부는 48년 1월에 <조선인학교 폐쇄령>을 내리고 조선학교에 대한 대대적인 탄…
2181
0
12-1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3 해방 후 국어교과서(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3 해방 후 국어교과서(후편) (글황리애) 민족교육의 기초, 역경 속에서도 출판은 계속되다vol. 42에서는 조선학교에서 처음 만들어진 국어교과서에 대해 소개했다. 이번 호에서는 계속해서 1940년대 후반부터 총련 결성 이후 교과서 편찬과정을 정리한다. 시련의 시기를 거쳐1947년 11월에 열린 조련(재일조선인총연…
1275
0
11-04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2_해방 후 국어교과서(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2_해방 후 국어교과서(전편) (글 황리애) 직접 만든 교재에서 체계적인 교과서로1945년 조국해방 후 곧바로 일본각지에서 재일조선인이 만든 국어강습소가 세워졌다. 이웃 동포, 아이들을 모아 급조한 교원이 직접 만든 교재로 조선어를 가르쳤다….그 후 교재 만들기는 조직적·체계적으로 발전해 오늘까지 변천을 거쳐 왔다. 다…
1059
0
08-04
1
페이지
열린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Subject
Content
Subject+Content
법률상담
문의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