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CLOSE
×
몽당연필
대표인사
걸어온길
사업소개
정관
살림살이
새글
오시는길
소식
공지사항
새글
활동보고
새글
동포소식
새글
몽당연필 소식
새글
미유의 동포 이야기
미디어
칼럼
관련 행사
새글
일정표
새글
우리동네 우리학교
우리학교 어디있지?
홋카이도 학구
이바라기 학구
도쿄 학구
가나가와 학구
아이치 학구
교토 학구
오사카 학구
고베 학구
히로시마 학구
규슈 학구
자료실
우리학교 시리즈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자료실
새글
영상
영화
책 소개
열린마당
카페로 가기
문의하기
법률상담
알아봅시다
조선학교는 어떤 곳?
고교무상화란?
보조금 문제
조선적 동포 문제
각 지역 재판 현황
후원하기
우리학교 시리즈
우리학교 시리즈
우리학교 시리즈
목록
Total
71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1_꼬마축구대회, 사이타마 초급학교 3연패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1 꼬마축구대회, 사이타마 초급 3연패조선학교와 민족악기(글 김기일) 조국방문의 꿈을 목표로, 우승에‘재일 조선초급학교 중앙축구대회’가 올해로 40회째를 맞았다.‘꼬마축구’라는 애칭으로 사랑받고 있는, 역사 깊은 대회에서 유일하게 깨지지 않은 기록이 있다. 사이타마 조선 초중급학교의 대회 3연패다. 제7회(1985)부터 9…
783
0
08-04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0_조선학교와 민족악기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40조선학교와 민족악기(글 이상영)어림짐작으로 찾아다녔던 민족의 음색조선학교 아이들에게 현재까지도 민족음악의 숨결을 꾸준히 전해가는 민족악기.그 시작은1966년5월,도쿄 조선제1초중급학교(도쿄도 아라카와구)로 조국에서 민족악기를 보내온 때부터 시작된다. - 도쿄 조선제1초중급…
1104
0
07-0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39_조선무용 기본동작의 보급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39 조선무용 기본동작의 보급 (글 장혜순)조선의 춤을 추구하며조선학교의 무용교육에 있어 바이블이라 할 수 있는 것이 기본동작이다. 조선무용의 기초를 닦은 최승희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만든 <조선민족무용기본>(1958, 조선예술출판사)가 바다를 건너 일본에 전해진 것은 1960년대 일 이었다. - 최승희(좌…
1659
0
05-05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38_조선무용 서클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38_조선무용 서클 (글 장혜순)1세의 춤사위에 얼어붙었다 조선학교에는 대부분의 학교에 조선무용 서클이 있어 민족애를 키우는 중요한 공간이 되고 있다. 지금은 무용을 가르치는 사람이 늘었지만, 초창기에는 극히 적은 1세 뿐. 그런 1세로부터 탐하듯 민족의 춤을 배워 2세, 3세들에게 전해준 사람들이 있다. - 조선무용의 …
1391
0
04-26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7_재일조선학생 소년예술단 서울공연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7 재일조선학생 소년예술단 서울공연 (글 장혜순)통일을 향한 희망, 4,500명의 눈물민족교육 사상 처음으로 조선학교 학생들이 남쪽의 고향땅에서 예술공연을 펼친 것은 15년 전인 2002년 9월이었다. 재일조선학생 소년예술단(단장 구대석, 도쿄중고급학교 교장, 총인원 90명)은 9월 4일에 서울, 6일에는 전주에서 공연을 성공시…
1284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6_나라(奈良)의 민족교육(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6 나라(奈良)에서의 민족교육(후편) (글 황리애)선대의 정신을 이어받아 다시 개교1969년 4월 1일 창립 이후, 동포들이 온 힘을 쏟아 발전시키고 계속 이어온 나라 조선초중급학교. 그러나 2000년대를 전후해 아동·학생 수가 서서히 감소해 휴교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아이들에게 다시 한 번 동포들이 모이는 장소를 보여…
823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5_나라(奈良)의 민족교육(전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5 나라(奈良)의 민족교육(전편) (글 황리애)견실한 노력, 간절히 바라던 자주학교에로나라현에서는 1960년대 말까지 오후 야간학교의 형태로 민족교육이 이어졌다. 나라 조선초중급학교가 개교한 것은 1969년 4월 1일. 조립식 가건물 교사였지만, 드디어 체제를 갖춘 자주학교가 완성된 것이다. 이듬해 9월 12일, 현재의 장소에 …
836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4_중앙구연대회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4 중앙구연대회 (글 박수화)다채로운 주제로 우리말을 이야기하는 즐거움조선학교에 다니는 아동, 학생들이 ‘화술’을 겨루는 재일조선학생 중앙구연대회.일본에서 태어나 자란 아이들이 조선말 솜씨를 보여주는 이 대회는 4세, 5세가 학교에 다니는 시대가 된 지금도 중요한 자리가 되고 있다. - 1964년 11월, 예술경연대회에서 …
909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3_<교원 편> 도쿄조고 복싱부 감독 이성수씨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3 <교원 편> 도쿄조고 복싱부 감독 이성수씨 (글 장혜순)인생의 카운터펀치‘인생의 카운터펀치를 날려라’ 지금까지도 이 가르침이 가슴에 살아있는 이들이 있다.조고 복싱부를 정점으로 키워내기 위해 인생을 바친 이성수 도쿄조선중고급학교 복싱부 감독(향년 46세)의 제자들, 지인들로부터 그의 정열을 들어보았다. - …
938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2_교원양성의 역사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2 교원양성의 역사 (글 이상영) - 조선사범전문학교 3기생 입학식(1955년 4월 10일, 후나바시) -단기 강습에서 사범학교로조선학교의 특징으로 교원양성을 목전에서 실시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현재 일본 각지에 있는 조선학교의 교원은 조선대학교에서 배출되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 전까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교원이 양성되어 왔다…
985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1_조선대학교 연극부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1 조선대학교 연극부 (글 황리애)시대별 테마, 꾸준히 조선말로 묘사해가다재일조선인을 둘러싼 다양한 테마를 표현하며 최근 안팎으로 활동을 주목받고 있는 조선대학교 연극부. 초창기에서 현재까지를 돌아보며 연극부의 활동과 의의를 소개한다.- 74년 공연한 <푸른 잔디(青い芝)> 왼쪽 끝이 고 남상혁씨 -연극 운동의 발전 …
1033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0_재일조선초급학교 중앙축구대회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30 재일조선초급학교 중앙축구대회 (글 이상영) - 초기 대회 모습, 1983년 제5회대회 결승전 세이방초급 vs 기타오사카초급 -제1회 우승학교의 영광은 영원히‘꼬마축구’라는 애칭으로 친근해져 수많은 드라마를 펼쳐져 온 재일조선초급학교 중앙축구대회가 올해로 39회를 맞는다. 제1회 대회에 스포트라이트를 맞춰 우승학교인 세이방…
967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9_규슈 조선중고급학교 럭비부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9 규슈 조선중고급학교 럭비부 (글 박수화) - 규슈 조선중고급학교 럭비팀. 정식 럭비부가 되기 전년도인 1957년 -한 교원으로부터 시작된 자이니치 럭비조선고교 럭비부의 활약은 일본전국 재일동포들의 마음에 감동과 희망을 주고 있다. 이러한 자이니치 럭비부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1958년, 창립 후 얼마 되지 않은 규슈조선중고급…
979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8_<교원 편> 지리학자 사공준(司空俊) 선생님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8 <교원 편> 지리학자 사공준(司空俊) 선생님 (글 장혜순)‘존재의 기적’ _ 지리학의 힘으로태어난 땅 조선을 떠나 일본의 교육을 받은 한 청년이 조선 지리에 눈을 떠 연구자, 교육자로서 살아 온 여정. 6월 3일 생을 달리한 재일조선인 지리학자의 생애를 따라가 본다. 사공준 (司空俊) 선생님1936년 경…
704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7_도쿄 조고 축구부(下)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27 도쿄 조고 축구부(下) (글 장혜순)최고 실력의 “무관(無冠)시대”제33회 전국 고교축구선수권대회에서 4위의 쾌거를 이룬 도쿄조선고급학교 축구부였으나, 대회 참가는 한 번 뿐이었다. 대회 출장 자격에 제약이 가해진 것이다. 실력을 시험해 볼 기회를 잃은 조고 선수들은 몹시 낙담했다.- 도쿄조선고급학교와 아오야마 고교 제5회…
796
0
02-09
1
페이지
2
페이지
열린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Subject
Content
Subject+Content
법률상담
문의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