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CLOSE
×
몽당연필
대표인사
걸어온길
사업소개
정관
살림살이
새글
오시는길
소식
공지사항
새글
활동보고
새글
동포소식
새글
몽당연필 소식
새글
미유의 동포 이야기
미디어
칼럼
관련 행사
새글
일정표
새글
우리동네 우리학교
우리학교 어디있지?
홋카이도 학구
이바라기 학구
도쿄 학구
가나가와 학구
아이치 학구
교토 학구
오사카 학구
고베 학구
히로시마 학구
규슈 학구
자료실
우리학교 시리즈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자료실
새글
영상
영화
책 소개
열린마당
카페로 가기
문의하기
법률상담
알아봅시다
조선학교는 어떤 곳?
고교무상화란?
보조금 문제
조선적 동포 문제
각 지역 재판 현황
후원하기
우리학교 시리즈
우리학교 시리즈
우리학교 시리즈
목록
Total
71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6_도쿄 조고 축구부(上)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 26 도쿄조고(東京朝高) 축구부(上) (글 장혜순)한 무대에서 싸워 4강에 빛나다1955년, 도쿄조선중고급학교가 도립조선인학교였던 시절, 고급부 축구부가 제33회 전국고교 축구선수권대회에 출장해 4강에 빛난 적이 있다. 그 후 1996년에 조선학교의 공식전 출장이 가능해진 이후로 지금까지도 재일조선인 축구의 쾌거로 전해지는 ‘사건…
962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5_요코하마 조선초급학교- 아오키(青木)소학교와 교류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5 요코하마 조선초급학교_아오키(青木) 소학교와의 교류(글 황리애) - 2017년 2월 12일 요코하마초급 창립70주년기념공연, 두 학교 아이들이 함께 오른 무대 -26년간 키워 온 우정교환수업, 조선과 일본의 문화 체험, 스포츠, 음악 등요코하마조선초급학교는 인근에 있는 요코하마시립 아오키소학교(青木小学校)와 다양한 …
988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4_시가 조선초급학교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4 시가(滋賀)조선초급학교 (글 이상영) - 제제(膳所)소학교 민족학급 수업풍경(1958년) -민족학급에서 민족학교로1949년 학교폐쇄령 이후 일본 각지에 조선학교가 재건되기까지의 경위는 다양하다. 시가현(滋賀県)에서는 ‘민족학급’을 거쳐 민족학교가 재건되었다.60년 4월, 시가 조선중급학교(후에 초·중급학교가 되었음, 현재…
1580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3_홋카이도 조선초중고급학교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3 홋카이도 조선초중고급학교 (글 황리애) - 삿포로시 도요히라구 히라오카 학교 운동장에서 겨울놀이를 하는 학생들 -오후 야간학교에서 이어져 온 민족교육의 등불홋카이도 조선초중급학교 창립된 해는 1961년.그때까지는 도내 각지에 <오후야간학교>를 만들어 자주학교라는 형태로 교육이 이어져 왔다.홋카이도에서 민족교육은 …
967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2_중등교육의 시작(아이찌)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2 중등교육의 시작(아이찌) (글 황리애) - 58년, <쿠로가와 학교> 의 운동장에서 배구를 하는 학생들-5번의 이전을 거쳐 현대적인 교사로아이찌현에서는 해방후부터 1947년까지 동안에 32개의 국어강습소와 초등교육의 장이 생겨났고, 아동·학생수는 약 4,800명에 달했다. 그후 중등교육에의 요망이 높아져 48…
735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1_중등교육의 시작(규슈)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1 중등교육의 시작(규슈) (글 이상영) - 규슈조선중고급학교 제1회 입학식(1956년 4월 10일)-창립60년, 오리오(折尾)의 규슈 중고규슈지방에서 유일한 재일조선인 중등교육시설인 규슈조선중고급학교(후쿠오카현 북규슈市)가 올해로 창립 60주년을 맞는다. 역사적으로 조선반도와 깊이 관련된 이 지방에서 해방 후 재일조선인의 중등…
763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0_중등교육의 시작-긴끼 지역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20 중등교육의 시작-긴끼 지역 (글 이상영) - 니시하리 조선초중급학교의 중급부 제1기 졸업생 -조국 해방 후 재일조선인이 시작한 중등교육은 긴끼 지역(오사카, 교토, 효고, 나라, 미에, 시가, 와카야마) 가운데에서도 효고, 오사카를 중심으로 이른 시기부터 시작되었다.46년 6월에 창립된 조련 이카마(飾磨)학원 중등부…
752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9_중등교육의 시작(도쿄)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9 중등교육의 시작(도쿄) (글 이상영) - 도쿄조선중학교 1기생들과 교원 -빛나는 그 이름, 도쿄조선중학교 1945년 8월 15일 조국 해방 후, 재일조선인에 의해 중등교육이 시작되어 올해로 70년을 맞는다. 일본 각지에서 재일조선인의 중등교육이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먼저 도쿄조선중고급학교의 초창기를 알아보자.높…
737
0
02-09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8_니시도쿄 조선 제2유·초·중급학교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8 니시도쿄 조선제2유·초·중급학교(글 이상영) - 옛 교사 부지 조성을 위해 땀흘리는 동포들, 1968년 7월 14일에 준공된 옛 교사 -계승되는 1세의 유산올해 창립 70주년을 맞는 니시도쿄 조선제2유초중급학교(마찌다시(町田市))동포수가 그다지 많지 않은 이 지역에서 민족교육의 명맥은 어떻게 이어져 왔나.1946년 창립부터…
716
0
02-0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7_「꽃송이」작문 콩쿠르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7 「꽃송이」작문 콩쿠르 (글 이상영)물려받아 이어지는 우리말 표현의 향연 <꽃송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재일 조선인학생 작문콩쿠르는 조선학교에 다니는 아동·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조선어작문 콩쿠르다. 얼마 전 한 번의 중단도 없이 올해 38회째를 맞았다. - 작문 콩…
773
0
02-0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6_조선대학교 창립과 교사 이전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6 조선대학교 창립과 교사 이전(글 이상영) - 창립초기, 임시 교사시절의 조선대학교-모두를 놀라게 한 새 캠퍼스2016년 4월 창립 60주년을 맞은 조선대학교(도쿄 고다이라시).재일조선인이 만든 민족교육의 최고학부는 어떻게 생겨나서 발전의 틀을 다져 왔을까.1956년 4월 10일 창립부터 59년 6월 13일에 고다이라…
1070
0
02-0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5_히로시마 조선초중고급학교 취주악부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5 히로시마(広島)조선초중고급학교 취주악부 (글 박수화) - 1966년 무렵 히로시마중고 취주악부 연습 풍경 -전통의 원점에 있었던 일본인 지도자최근 눈부신 활약을 보이고 있는 히로시마 조선초중고급학교(히로시마시 히가시구)의 취주악부.이 학교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동아리다. 누구 하나 악보도 변변히 읽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했…
1018
0
02-08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4_<3펜> 마크 탄생 비화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4 <3펜> 마크 탄생 비화 (글 이상영)스승과 제자의 공동 작업으로 태어난 디자인조선학교를 상징하는 것 가운데 하나로 <3펜>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진 마크가 있다.예전 중고급부 모장(帽章 모자에 달린 휘장)등으로 사용되어 학교 휘장으로도 쓰고 있다. 조선학교에 다닌 사람이나 학교와 연을 맺고 있는 사람이라면…
840
0
02-07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3_군마 조선초중급학교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3 군마(群馬) 조선초중급학교 (글 황리애)지금도 변함없는 민족교육을 향한 마음2015년에 창립55주년을 맞은 군마(群馬) 조선초중급학교.지금까지 1,093명이 졸업하고 3세대 동포 아이들이 다니는 전통 있는 학교다.이곳 군마 초중학교와 군마현에서 민족교육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모아 봤다.이야기를 들려주는 이는 이 학교의 안중근…
850
0
02-07
텍스트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2_야마구치 조선초중급학교
발생기의 우리학교 VOL.12 야마구치 조선초중급학교 (글 박수화)저항으로 이어온 민족교육야마구치 조선초중급학교는 2016년에 학교 창립 60주년, 민족교육실시 70주년을 맞는다. 학교 폐쇄 명령에 대한 항의 데모, 학교폐쇄 기간에도 계속된 민족교육에는 야마구치 동포들의 저항의 역사가 보인다.- 조련 시모노세키 초등학원 제2회 졸업식(1948년 3월 18…
1009
0
01-31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열린
4
페이지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Subject
Content
Subject+Content
법률상담
문의하기
후원하기